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생페이백 신청방법

by krmin 2025. 9. 26.
반응형

 

상생페이백 신청방법

 

 

 

 2025년 정부가 내놓은 상생페이백 /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코로나 이후 위축된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소보다 소비를 더 한 금액 일부를 돌려주는 방식으로 설계된 지원제도예요.

 

 많은 분들이 ‘상생지원금’이라고 부르지만, 공식 명칭은 상생페이백 또는 소비쿠폰 지원사업입니다. 이 제도는 단순 현금 지급이 아니라, 소비 진작 + 지역 소상공인 매출 회복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갖고 있어요.

 지원 대상, 신청 방식, 사용 조건 등이 꽤 복잡하니 아래 지침대로 꼼꼼히 살펴보세요.



✅ 신청 방법

 

 첫 번째 방식은 온라인 신청이에요.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 kr) 또는 카드사 웹사이트·앱에서 신청할 수 있고, 신청 시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 가입이 필요해요.

 

 신청 기간은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 자정까지이며, 시스템 점검시간(23:30 ~ 00:30)은 접수 불가입니다. “하루만 신청하면 9~11월 전체 소비 증가분에 대한 페이백” 신청이 가능해요. (mss.go.kr)

 

두 번째는 오프라인 신청 방식이에요. 온라인이 익숙하지 않거나 어렵다면,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또는 은행 영업점 등에서 신청 보조 서비스를 제공해 줍니다.

 

 단, 오프라인 신청은 11월 28일까지 평일 영업시간 내 가능한 경우가 많고, 첫 주엔 5부제 신청이 적용돼요. (mss.go.kr)

 

또한, 첫 주(9월 15~19일)에는 출생년도 끝자리 기준 5부제가 적용돼 신청 일자를 분산시켜요. 예: 끝자리 5·0 → 9월 15일, 6·1 → 16일, 7·2 → 17일 등입니다. 9월 20일부터는 제한 없이 신청 가능해요. (mss.go.kr)



✅ 대상 조건

 

 먼저 자격 기준은 만 19세 이상, 그리고 2024년 기준 카드 소비 실적이 있는 자가 대상이에요.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기준) (mss.go.kr)


 또한 외국 국적 동포의 경우, 지급 기준일(6월 18일) 기준 국내에 체류 중이며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등의 조건을 갖춰야 해요. (overseas.mofa.go.kr)

 

 단, 소득 상위 10% 또는 고액 자산가는 2차 지급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고, 건강보험료 납부액, 재산세 과세표준, 금융소득 등 여러 기준이 적용돼요. 예컨대 재산세 과세표준이 12억 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2,000만 원 초과 시 제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mois.go.kr)

 

구분 조건 / 기준 비고
연령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만 19세 이상) 신청ㆍ지급 기준
기준일 재화체류 / 보험 6월 18일 기준 국내 체류 + 건강보험 가입 또는 피부양자 / 의료급여 수급자 외국 국적 동포 포함 조건
소비 실적 2024년 카드 소비 실적 보유 신청 대상 조건 중 하나
소득 / 자산 제한 소득 상위 10% 제외 / 고액 자산가 제외 기준 적용 2차 지급 시 반영
가구 구성 주민등록표 기준 세대원 기준 / 주소지 기준 단독 세대 혹은 세대주 기준 신청

 

반응형